주니퍼 네트웍스, 업계에서 인정받은 리더쉽과 기술 혁신으로 AI 네이티브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분야에서 강력한 모멘텀 입증
- 2025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데이터센터 스위칭 부문 리더,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부문 1위, 800GbE OEM 스위칭 부문 1위 달성
2025년 5월 08일 - 안전한 AI 네이티브 네트워킹 리더 기업 주니퍼 네트웍스(www.juniper.net/kr/ko, 지사장 채기병)가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시장에서 업계 인정과 더불어 강력한 모멘텀을 입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주니퍼는 2024년 800GbE OEM 스위칭 시장에서 1위를 달성했으며*, 2025년 3월 31일에 발표된 2025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2025 Gartner® Magic Quadrant™) 데이터센터 스위칭 보고서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또한 주니퍼는 2025 가트너 핵심 역량(2025 Gartner Critical Capabilities) 데이터센터 스위칭 보고서에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부문 1위, AI 이더넷 패브릭 구축 부문 2위를 차지했다. 주니퍼는 AI 시대 고객의 퍼포먼스와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최신 기능을 발표하면서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주니퍼 네트웍스의 프라빈 자인(Praveen Jain) 데이터센터 및 AI 부문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가트너 최신 보고서는 단순화된 AI 네이티브 운영, 벤더 종속을 방지하는 개방성, 업계 최고 성능, 뛰어난 안정성 등 주니퍼 데이터센터 가치 제안의 강점을 명시했다”라며 “주니퍼 데이터센터 팀은 전 세계 다양한 기업과 AI/클라우드 프로바이더 고객의 비즈니스 요구를 지원하는 혁신 기술을 현장에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5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데이터센터 스위칭 부문 리더
가트너 최신 보고서는 새로운 AI 워크로드 처리 기능을 비롯해 현대적인 시각으로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산업을 살펴본다. 가트너는 패브릭 관리, 관리 용이성, 플랫폼 통합 등 기능을 기준으로 벤더를 평가한다. 데이터센터 스위칭 핵심 역량(Critical Capabilities for Data Center Switching) 보고서는 전반적인 기능, 기술, 역량을 기준으로 벤더의 솔루션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의 동반 보고서다. 이 보고서에서 주니퍼는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Enterprise Data Center Network Build-Out)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AI 이더넷 패브릭 구축(AI Ethernet Fabric Build-Out) 부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SONiC 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사용 사례(SONiC-Based Data Center Network Build-out Use Cases) 부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2024년 800GbE OEM 스위칭 시장 점유율 1위
*2025년 3월에 발표된 650 Group의 2024년 매출 출하량 보고서에 따르면, 주니퍼는 AI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핵심 요소인 800GbE OEM 스위치 시장에서 44%의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800GbE는 AI 학습, 추론, 스토리지 클러스터와 기타 HPC(High-Performance Computing) 환경의 기반이다. 주니퍼는 혁신적인 기술과 민첩성을 갖춘 800GbE 라우팅 및 스위칭 플랫폼을 최초로 출시했다.
데이터센터 혁신을 통한 AI 네트워킹 혁신
주니퍼 미스트 AI 네이티브(Mist AI-Native) 네트워킹 플랫폼의 핵심인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운영 용이성, 성능, 안정성, 개방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계속해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애플리케이션 작동에 대한 향상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독보적인 AIOps 기능, 간소화된 패브릭 관리를 위한 멀티벤더 인텐트 기반 네트워킹, 문제를 선제적으로 식별하고 해결을 위한 권장 조치를 제공하는 마비스(Marvis) AI 어시스턴트가 포함된다.
주니퍼는 AI 워크로드에 특화된 성능 및 전력 최적화 기능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작업 시간 단축, 전력 소비 경감, ROI 증대를 실현한다. 예를 들어 주니퍼는 DLB(Dynamic Load Balancing), GLB(Global Load Balancing) 같은 혁신적인 AI-LB(AI Load Balancing) 기술을 통해 AI 워크로드의 네트워킹 요구에 대응한다. 주니퍼는 RDMA 플로우를 확정적 경로(Deterministic Path)에 고정해 네트워크 전반의 트래픽을 예측 가능하게 로드 밸런싱함으로써 이더넷 네트워크 성능을 더욱 개선하는 RLB(RDMA-aware Load Balancing)를 도입해 이러한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특수한 SmartNIC와 고가의 스케줄링 패브릭 아키텍처(Scheduled Fabric Architectures) 필요 없이 혼잡을 대폭 최소화하고, 일관되게 이론적 최고치에 가까운 성능을 실현하며, 원활한 패킷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주니퍼는 최근 옵틱 전력 소비를 최대 50%까지 절감해 GPU 스케일과 ROI를 증대시키는 주니퍼 네트웍스 QFX 시리즈 플랫폼용 LPO(Linear Pluggable Optics)를 출시했다. 주니퍼는 CPO(Co-Packaged Optics) 투자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대역폭 밀도를 더욱 높이고, 특히 AI 및 HPC 같은 중요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나갈 것이다.
“AI 서비스의 비용과 규모는 AI 인프라의 성능과 효율성에 의해 결정된다. 주니퍼의 AI-LB(AI Load Balancing) 솔루션은 최고의 AI 네트워크 패브릭 처리량을 확보하여 AI 인프라에서 GPU 활용률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기술이다.”
- 이탈리아 대학연합 연구 컨소시엄 시네카(CINECA), 다니엘 체자리니(Daniele Cesarini) AI/HPC 아키텍처 총괄
주니퍼 네트웍스에 대하여
주니퍼 네트웍스는 탁월한 연결 경험은 단순한 연결성과 차별화된다고 믿는다. 주니퍼의 AI 네이티브 네트워킹 플랫폼은 최초 단계에서부터 AI를 활용하여, 에지 에서부터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까지 탁월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축되었다. 주니퍼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주니퍼 네트웍스 홈페이지 (https://www.juniper.net/kr/ko/) 또는 주니퍼 X(Twitter), LinkedIn, Facebook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품 방향
주니퍼 네트웍스는 제품 방향 기술서 또는 실행 가능한 계획(“POR”)으로 알려진 향후 제품, 기능 또는 개선 사항에 대한 개발 및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제공된 이 같은 세부 정보는 주니퍼의 현재 개발 노력 및 계획을 근거로 한다. 이러한 개발 노력과 계획은 주니퍼의 내부 사정에 따라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최종 계약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니퍼 네트웍스는 본 웹사이트, 프리젠테이션, 회의 또는 출판물에 설명된 제품, 기능 또는 개선 사항을 소개해야 할 책임이 없으며, 주니퍼는 POR을 기반으로 발생하는 모든 손실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 제3자에 의한 구매 결정은 본 POR을 기반으로 해서는 안 되며, 주니퍼 네트웍스가 본 웹사이트, 프리젠테이션, 회의 또는 간행물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